맨위로가기

파리 메트로 14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메트로 14호선은 파리 메트로의 노선으로, 1998년 마들렌-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는 생 드니 - 플레옐역과 오를리 공항역까지 운행한다. Météor라는 프로젝트명으로 시작되었으며, 파리 동서를 횡단하는 1호선과 RER A선의 혼잡 완화, 13구 남부 지역의 도심 연결을 목표로 건설되었다. 자동 운전 시스템을 갖춘 것이 특징이며, 2024년 기준으로 총 27.3km의 노선에 20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메트로 14호선 - MP 05
    MP 05는 파리 메트로 1호선과 14호선의 자동화에 맞춰 도입된 고무차륜 열차로, 알스톰과의 계약으로 제작되었으며 LED 전조등, 딜리담 멀티미디어 시스템, 보안 카메라, 에어컨 등의 특징을 갖추고 MP 89CA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나, 2020년경부터 차세대 MP 14 전동차로 대체될 예정이다.
  • 파리 메트로 노선 - 파리 메트로 13호선
    파리 메트로 13호선은 파리에서 가장 긴 노선으로, 파리 북서쪽과 북쪽에서 시작하는 두 지선이 합류하여 파리 중심가를 남쪽으로 가로지르며, 혼잡 해소를 위해 2035년까지 완전 자동화된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 파리 메트로 노선 - 파리 메트로 7호선
    파리 메트로 7호선은 파리 동쪽을 남북으로 연결하며, 중심부에서 C자 모양으로 흐르고, 남쪽으로는 두 지선으로 나뉘며, MF 77형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 199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홍콩 공항철도
    홍콩 공항철도는 1998년 홍콩 국제공항 개항과 함께 개통된 급행 노선으로, 홍콩역, 구룡역, 칭이역을 거쳐 공항역과 아시아월드-엑스포역까지 운행하며, 퉁충선과 일부 구간을 공유한다.
  • 199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둥충선
    둥충선은 1998년에 개통되어 홍콩 역에서 둥충 역까지 8개의 역을 운영하며, 칭마 대교를 지나 란터우 섬으로 연결되는 MTR 노선이다.
파리 메트로 14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14호선
노선 색상#672f8f
네트워크파리 메트로
위치파리, 센생드니, 생투앙쉬르센, 클리시, 르크렘린비세트르, 장티이, 빌쥐프, 셰빌리라뤼, 레아이레로즈, 티에, 파레비에유포스트
개통일1998년 10월 15일
기점생드니-플레옐역
종점오를리 공항역
운영 기관파리 교통공단
운행 방식자동 (SAET)
차량MP 14
역 수20
노선 길이27.8 km
궤간1,435 mm
(고무 타이어 주행을 위한 롤 웨이 포함)
전철화 방식직류 750V 제3궤조방식
운행 시간41분
역 간 거리1388 m
연간 승객 수7800만 명 (2021년)
노선 순위14개 노선 중 6위 (2021년)
연결 노선


기술 정보
최고 속도80 km/h
이미지
[[MP 14 (파리 메트로)|MP 14]] 자동 차량, [[파리 12구|12구]] [[리옹역 (파리 메트로)|리옹역]]
MP 14 자동 차량, 12구 리옹역
퐁 카르디네 역
퐁 카르디네 역
노선도
14호선 노선도
14호선 노선도

2. 역사

14호선은 1937년 개통했던 구 14호선 이후 61년 만인 1998년에 개통된 파리 메트로의 새로운 노선이다. 계획 당시에는 Météor|메테오르프랑스어 또는 METEOR(METro Est-Ouest Rapide|메트로 에스트-우에스트 라피드프랑스어, '동서 고속 메트로'라는 뜻이며 유성의 의미도 가진다)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다.

이 노선 건설의 주된 목적은 파리 시내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1호선RER A선의 극심한 혼잡을 완화하고, 기존 메트로 서비스가 부족했던 파리 13구 남부 지역(특히 프랑스 국립 도서관 주변 재개발 지구)을 도심과 직접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경 때문에 14호선은 특히 도심 구간에서 역 사이의 거리가 길게 설계되었다. 대표적으로 샤틀레역과 리옹역 사이의 거리는 2784m에 달해 파리 메트로에서 가장 긴 역간 거리를 기록했는데,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1호선에는 중간역이 3개나 있다.

14호선은 파리 메트로 최초로 완전 자동 운전 시스템을 도입했으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또한, 기존 메트로 노선들보다 지하 더 깊은 곳을 직선적으로 운행하며 최고 속도도 시속 80km로 더 빠르다. 이 덕분에 표정 속도는 다른 노선보다 약 시속 10km 빠른 시속 약 40km에 달한다. 역 디자인 역시 기존 메트로와 달리 생 라자르역의 거대한 개방 공간이나 리옹역의 지하 정원 등 대담한 시도를 보여준다.

1998년 10월 15일 마들렌역에서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까지 첫 구간이 개통된 이후, 2003년에는 북쪽으로 생 라자르역까지 연장되었다. 이 짧은 연장 구간(약 500m)은 파리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 중 하나를 통과하고 여러 기존 노선과 교차하여 공사에 5년 가까운 시간이 소요되었다. 2007년에는 남쪽으로 올랭피아드역까지 연장되었는데, 이 공사는 터널 공사 중 지반 붕괴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 문제로 개통이 예정보다 늦어지기도 했다. 이후에도 노선은 여러 차례 연장되어 파리의 중요한 교통축으로 자리 잡았다.

2. 1. Météor 프로젝트

파리의 동서 축은 오랫동안 교통량이 많았으며, 1호선은 1940년대에 이미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60년대와 70년대에 RER A선이 건설되었으나, RER A선 역시 유럽에서 가장 붐비는 도시 노선 중 하나가 되었다. 1989년 9월, RER A선의 중앙 구간에 운행 관리 시스템인 SACEM(Système d'aide à la conduite, à l'exploitation et à la maintenance|보조 운전, 제어 및 유지보수 시스템프랑스어)이 도입되어 열차 간 간격이 2분으로 단축되었지만, 증가하는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오베르와 리옹역 사이의 혼잡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철도 노선 건설이 필요해졌다.

이에 두 가지 주요 계획이 제안되었다. SNCF(프랑스 국철)는 파리 동부 교외에서 생 라자르역을 거쳐 서부 교외로 이어지는 새로운 표준궤 노선인 EOLE 프로젝트(Est-Ouest Liaison Express|동서 연락 급행프랑스어)를 제시했다. 한편, 파리 교통공단(RATP)은 1987년에 Météor 프로젝트(MÉTro-Est-Ouest-Rapide|동서 고속 메트로프랑스어)를 발표했다. 이 계획은 당초 파리 서부의 포르트 마이요에서 생 라자르역, 샤틀레, 리옹역을 경유하여 남동부의 메종 블랑슈까지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 노선은 교통 서비스가 부족했던 13구 남부 지역을 도심과 연결하고, 당시 계획 중이던 프랑스 국립 도서관 주변 좌안의 톨비악 지구 재개발 계획과도 연계되었다. 생 라자르-리옹역 구간에 대해서는 북역, 동역, 레퓌블리크 광장을 경유하는 대안(METEOR2)도 검토되었다.

이후 포르트 마이요까지 연결하려던 계획은 생 라자르를 종점으로 하는 것으로 수정되었으며, 장기적으로는 클리시까지 연장하여 13호선의 아스니에르 지선을 통합할 가능성도 고려되었다.

노선 신설의 시급성을 고려하여 미셸 로카르 정부는 1989년 10월 Météor 프로젝트 건설을 승인했다. 그러나 예산 제약으로 인해 두 프로젝트 모두 초기 계획보다 축소되었다. EOLE 프로젝트는 RER E선으로 실현되었으나 초기에는 교외에서 생 라자르의 새로운 지하역까지만 운행하는 것으로 축소되었고, Météor 프로젝트 역시 1단계에서는 중앙 구간인 마들렌 -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 구간만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7] 같은 해 11월에는 생 라자르 - 톨비악 시가지 규제 구역(현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 간의 건설 계획이 확정되었다.

2. 2. 건설

1989년 미셸 로카르 정부의 각료 회의에서 프로젝트가 승인된 후,[7] 1989년 11월부터 1992년 말까지 탐사 갱도와 갤러리 굴착이 이루어졌다. 본격적인 터널 공사는 1993년 7월에 시작되어 1995년 초까지 진행되었다. 1993년 9월, 바스티유 근처에서 터널 보링 머신(TBM) '상드린'(Sandrinefra)이 명명되었다. 길이 80m, 폭 11m의 이 TBM은 직경 8.6m의 터널을 굴착할 수 있었다. 상드린은 하루 24시간, 주 5일 가동되며 지하수면 아래 25m 지점을 굴착했다. 주로 느슨하게 쌓인 석회암과 이회암으로 이루어진 지질 조건은 굴착에 유리하여, 터널은 한 달에 350m씩 전진했다. 이 터널은 7개의 메트로 노선, 하수도, 클리시-카푸신(Clichy-Capucines) 시설, 4개의 지하 주차장 아래를 지나고, 2개의 RER 노선 위를 통과한다.[8]

아르세날 분지에서의 토사 굴착 및 현장 작업은 센 강의 범람으로 인해 2주간 지연되기도 했다. 이 수로 경로는 파리 시내의 교통 체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터널은 1995년 1월 17일 미래의 피라미드 역 부지에 도달했고, 3월 15일에는 마들렌 역에 이르렀다. 8월에는 오스만 대로 아래에서 굴착을 멈추고 같은 달 해당 지점의 수직 통로를 통해 지상으로 나왔다.[8]

리옹역에서 올랭피아드 방향으로 가는 14호선 열차


노선의 다른 쪽 끝인 리옹역에서 톨비악(Tolbiac)까지의 터널 구간은 개착 공법으로 지표면에서 직접 굴착되었다. 톨비악 다리 상류에서 센 강을 횡단하는 구간은 전통적인 수중 지지 방식인 잠긴 보(immersed caissons)로 건설되었으며, 마지막 보는 1994년 9월 28일에 설치되었다. 비용 절감을 위해 리옹역에서 아르세날 분지까지의 구간은 RER D선 터널과 동시에 굴착되었다. 이 공사 과정에서 굴착된 토사량은 81.6만m3에 달하며, 이는 몽파르나스 타워 부피의 약 두 배에 해당한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및 구조 지지에 사용된 강철은 1.9만ton으로, 에펠탑 질량의 두 배에 달한다.[9]

생 라자르역에서 리옹역 직전의 생 마르탱 운하까지 구간은 주로 실드 공법을 사용하여 파리 중심부 지하 깊은 곳을 통과하도록 굴착되었다. 생 마르탱 운하를 지난 후 노선은 지하 얕은 곳으로 올라와 베르시(Bercy) 거리 지하의 리옹역에 도달한다. 베르시역과 쿨 생테밀리옹(Cour Saint-Émilion)역 사이에서는 국철 베르시역 지하에서 거의 90도 방향을 틀어 센 강을 건넌다. 이 구간은 토르비아크교 상류 측에 침매 공법으로 건설된 터널을 이용하며, 이후 거의 토르비아크(Tolbiac) 거리 지하를 따라 올랭피아드역까지 이어진다.

터널 굴착은 지질 조사 등을 거쳐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진행되었다. 특히 마들렌역부터 생 마르탱 운하까지의 터널은 독일제 실드 머신을 사용하여 22개월 만에 완성되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레일 부설과 역 내부 공사가 진행되었다.

14호선 – 생 라자르역


노선 공사와 병행하여 자동 운전 시스템 테스트도 이루어졌다. 파리 외곽의 순환 철도였던 프티트 생튀르 남부 구간의 폐선 부지(구 메종 블랑슈 역 ~ 현 트램 3호선 포테른 드 푸프리에 역 부근)에 시험선이 건설되어 1995년부터 자동 운전 시험이 진행되었다. 1997년 5월부터는 실제 14호선 남부 구간 중 레일 부설이 완료된 곳에서 시운전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998년 10월 15일, 1단계 구간인 마들렌 ~ 비블리오테크 프랑수아 미테랑 구간이 개통되었다. 개통식에는 당시 프랑스 대통령이자 계획 시작 당시 파리 시장이었던 자크 시라크가 참석했다.

이후 생 라자르 ~ 마들렌 구간 연장 공사가 1998년 7월에 시작되어 2003년 12월 16일에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약 500m에 불과했지만, 파리에서 가장 혼잡한 도로 중 하나인 지상 교통 문제와 여러 기존 메트로 노선과의 교차, 생 라자르역 환승 통로 건설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5년의 공사 기간이 소요되었다. 생 라자르 연장 개통으로 14호선 이용객 수는 약 30% 증가했다.

남쪽으로는 2007년 6월 26일, 비블리오테크 프랑수아 미테랑 ~ 올랭피아드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 이 구간의 터널은 1단계 개통 시 이미 굴착되어 있었고, 올랭피아드역 부지는 당시 차량 기지로 사용되고 있었다. 여객 운송을 위해 터널을 서쪽으로 연장하고 새로운 차량 기지를 건설했다. 당초 이 구간은 2006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올랭피아드역 서쪽 터널 공사 중 지상의 초등학교 운동장이 함몰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 문제로 개통이 2007년으로 연기되었다. 파리 남부 지하에는 고대 및 중세 시대의 채석장 유적이 남아 있어 공사에 어려움이 따랐다.

가장 최근에는 2024년 6월 24일, 북쪽으로 생-드니-플레옐역(Saint-Denis Pleyelfra)까지, 남쪽으로는 오를리 공항역( Aéroport d'Orlyfra)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2. 3. 개통 및 연장

14호선은 1935년 11호선 이후 60년 이상의 공백을 두고 개통된 노선이다. 1987년 계획 발표 당시에는 Météor|메테오르프랑스어 또는 METEOR(METro Est-Ouest Rapide|메트로 에스트-우에스트 라피드프랑스어, '동서고속메트로'라는 뜻)라는 코드명으로 불렸다. 이 노선 건설의 주요 목적은 파리 시내를 동서로 횡단하는 1호선RER A선의 극심한 혼잡을 완화하고, 기존 메트로 노선이 부족했던 파리 13구 남부 지역과 도심을 직접 연결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배경으로 14호선은 특히 도심 지역에서 역 간 거리가 길게 설계되었다. 실제로 샤틀레역과 파리 리옹역 사이의 거리는 2784m로 파리 메트로에서 가장 길며,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1호선에는 중간역이 3개나 있다.

1993년 7월에 착공하여, 지질 조사 등을 거쳐 1993년부터 1995년까지 터널 굴착이 이루어졌다. 마들렌역부터 생마르탱 운하까지의 터널은 독일제 쉴드 머신을 사용하여 22개월 만에 굴착되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레일 부설과 역 내부 공사가 진행되었다. 노선 공사와 병행하여 자동 운전 시스템 테스트도 진행되었는데, 프티트 생튀르 남부의 폐선 부지를 활용한 시운전선에서 1995년부터 시험이 이루어졌고, 1997년 5월부터는 실제 14호선 남부 구간에서 시운전이 시작되었다.

1998년 10월 15일, 1단계 구간인 마들렌역과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 사이가 개통되었다. 개통식에는 계획 시작 당시 파리 시장이었던 자크 시라크 대통령이 참석했다. 14호선의 개통으로 교통량은 빠르게 증가하여, 개통 5년 만인 2003년 10월에는 하루 24만 명의 승객이 이용했다.[14]

2003년 12월 16일에는 생 라자르역과 마들렌역 사이의 북부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구간은 거리가 500m에 불과했지만, 파리에서 가장 혼잡한 지역 중 하나인 지상 교통 상황과 이미 여러 메트로 노선이 지나가는 복잡한 지하 구조 때문에 공사에 5년 가까운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 연장으로 14호선 이용객 수는 약 30% 증가했다.

2007년 6월 26일에는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에서 올랭피아드역까지 남쪽으로 연장되었다. 이 구간의 터널은 1단계 개통 시 이미 건설되어 있었고, 올랭피아드역 부지는 차량 기지로 사용되고 있었다. 여객 운송을 위해 터널을 서쪽으로 더 연장하여 새로운 차량 기지를 건설했다. 당초 이 구간은 2006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터널 공사 중이던 2006년 10월 지상의 초등학교 운동장이 함몰되는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 대책 수립 관계로 개통이 1년 지연되었다.[16][17] 파리 남부 지하에는 고대부터 중세까지의 채석장 유적이 많아 공사에 어려움이 따랐다. 연장 이후 교통량은 더욱 증가하여 2007년 말에는 평일 평균 45만 명의 승객이 14호선을 이용했다.

샤틀레역의 14호선 열차


차량 측면에서는 2014년 3월 3일에 18편성의 MP 05 중 첫 번째 열차가 영업 운행을 시작했으며, 2020년 10월 12일에는 35편성의 신형 MP 14 중 첫 번째 열차가 운행을 시작했다. 기존에 운행되던 MP 89 및 MP 05 열차는 2023년 4월 13일 마지막 운행을 마치고 4호선으로 이관되었다.[26]

2020년 12월 14일에는 생 라자르역에서 생투앙 시청역까지의 두 번째 북부 연장이 이루어졌다. 이 연장은 13호선의 혼잡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원래 2017년 개통 예정이었으나 여러 차례 연기되었고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2020년 말에 개통되었다. 이 연장으로 14호선의 총 길이는 9km에서 14km로 늘어났다.[18] 연장 구간 내의 포르트 드 클리시역은 2021년 1월 28일에 개방되었다.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14호선은 2024년 6월 24일에 북쪽과 남쪽으로 동시에 대규모 연장이 이루어졌다.[22][23][2] 북쪽으로는 생투앙 시청역에서 생 드니 - 플레옐역까지 연장되었고, 남쪽으로는 올랭피아드역에서 오를리 공항역(파리-오를리 공항)까지 연장되었다. 북쪽 연장은 13호선의 혼잡 완화와 더불어 RER C의 생투앙역, 트랑실리앙 파리-생 라자르 노선의 퐁 카르디네역, RER D와의 환승 연계를 목표로 한다.[19][20] 남쪽 연장 구간에는 6개의 중간역이 신설되었으며, 터널 공사는 2021년에 완료되었다.[21] 다만, 남쪽 연장 구간의 빌쥐이프-구스타브 루시역은 15호선과의 환승 공사로 인해 2025년 1월 18일에 개통될 예정이다.[25] 오를리 공항역을 이용하는 경우, 일반 메트로 요금보다 비싼 10.3유로의 특별 요금이 적용된다.[24]

자동화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몇 차례 운행 차질이 발생하기도 했다. 2004년 9월 20일에는 신호 고장으로 열차가 터널 내에서 멈췄고,[10] 2006년 12월 22일에는 기계적 문제로 인한 전기 고장으로 승객들이 1시간 반 동안 갇히는 사고가 있었다.[11] 2007년 3월 21일과 8월 21일에도 기술적 문제로 운행이 중단된 바 있다.[12][13]

날짜구간내용
1993년 7월착공
1998년 10월 15일마들렌 ↔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1단계 개통 (자크 시라크 대통령 개통식 참석)
2003년 12월 16일생 라자르 ↔ 마들렌북부 1차 연장 개통
2007년 6월 26일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 ↔ 올랭피아드남부 1차 연장 개통 (지반 붕괴 사고로 1년 지연)
2014년 3월 3일MP 05 첫 영업 운행 시작
2020년 10월 12일MP 14 첫 영업 운행 시작
2020년 12월 14일생 라자르 ↔ 생투앙 시청북부 2차 연장 개통 (코로나19 범유행 등으로 지연)
2021년 1월 28일포르트 드 클리시역중간역 개방
2023년 4월 13일MP 89, MP 05 운행 종료 (4호선 이관)
2024년 6월 24일생투앙 시청 ↔ 생 드니 - 플레옐역북부 3차 연장 개통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2024년 6월 24일올랭피아드 ↔ 오를리 공항남부 2차 연장 개통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3. 노선 특징

구분내용
총 연장27.3km (2024년 6월 연장 이후)[2]
궤간1435mm (표준궤)
역 수20개 (2024년 6월 연장 이후)[2]
역간 평균 거리1338m
복선 구간전 구간 (우측 통행)
전철 구간전 구간 (제3궤조 방식, 직류 750V)



14호선은 1937년 개통했던 구 14호선 폐선 이후 61년 만에 새로 개통된 노선이다. 계획 당시에는 Météorfra 또는 METEORfra (METro Est-Ouest Rapidefra, "동서 고속 메트로"라는 의미와 함께 유성을 뜻하는 프랑스어 météorefra의 의미도 담고 있다)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이 노선 건설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파리 시가지 중심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RER A선의 극심한 혼잡을 완화한다.
  • 13구의 센 강 좌안 지구(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 주변의 도시 재개발 지구)와 올랭피아드 지구를 도심과 직접 연결한다.


14호선은 도심 구간에서 역 간 거리가 다른 노선에 비해 길게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샤틀레 - 리옹역 구간은 14호선으로는 단 한 정거장이지만, 거의 같은 경로를 운행하는 1호선은 이 사이에 3개의 역이 있다. 또한, 도심부에서는 다른 메트로 및 RER 노선과의 교차를 피하기 위해 지하 깊은 곳으로 운행하며, 지상 도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직선적인 선형을 갖추고 있다. 최고 속도는 기존 메트로 노선보다 높은 80km/h이며, 이 덕분에 표정 속도는 다른 노선보다 약 10km/h 빠른 40km/h 수준이다. 지하 구조물을 피하기 위해 경사가 많으며, 최대 50퍼밀에 달하는 구간도 있다.

14호선의 가장 큰 특징은 완전 자동 운전 시스템을 채택했다는 점이다. Système automatique d'exploitation des trains|SAELfra(자동 열차 운전 시스템)이라는 시스템으로 제어되며, 모든 역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신교통 시스템인 VAL 방식과 달리, 자동 운전 열차와 수동 운전 열차가 혼재되어 운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효율은 다소 떨어질 수 있음). 또한 야간에는 역에 열차를 유치시켜 둘 수 있으며, 첫차를 중간역에서 출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14호선의 유치선 규모는 전체 편성 수보다 적다.

자동 운전 시스템 개발에는 형식 기법에 기초한 B-메소드가 사용되었다. 차상 시스템은 DIGISAFE라 불리며, 3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 MC68020에서 Matra Real Time Kernel|MRTKfra(마트라 리얼 타임 커널)라는 전용 소프트웨어가 작동한다. 중앙 지령 시스템은 DEC 알파상의 OpenVMS에서 운영된다.

자동 운전 도입으로 열차 지연이나 혼잡 발생 시 임시 열차를 유연하게 투입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열차의 역 진입 속도를 높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최단 운행 간격을 90초까지 단축하고 표정 속도를 향상시켰다. 더불어, 프랑스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파업 시에도 14호선은 비교적 운행 중단 없이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2019년 12월 5일 프랑스 전역에서 대규모 총파업이 벌어졌을 때도, 1호선과 함께 자동 운전의 이점을 살려 정상 운행을 유지했다.[36]

궤도는 1호선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무 타이어를 이용한 안내 궤도식이지만, 회송이나 분기기 구간에서의 안내를 위해 철제 레일도 함께 설치되어 있다.

역 내부 디자인은 기존 파리 메트로의 이미지와는 차별화된 대담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생라자르역의 거대한 개방형 공간이나 리옹역의 지하 정원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노선 경로는 생라자르역에서 리옹역 직전의 생 마르탱 운하까지 주로 실드 공법으로 굴착되었으며, 파리 중심부 지하 깊은 곳을 통과한다. 생라자르역에서 남쪽으로 출발하여 마들렌역 직전에 동남쪽으로 방향을 틀어 거의 직선으로 나아가며, 팔레 루아얄 바로 아래 등을 지나 도심을 관통한다. 샤틀레역과 리옹역 사이의 역간 거리 2784m는 14호선에서 가장 길다. 생 마르탱 운하를 지나면 지하 얕은 곳으로 올라와 베르시 거리 지하의 리옹역에 도착한다. 베르시역과 쿠르 생테밀리옹역 사이, 국철 베르시역 지하에서 거의 90도로 방향을 전환하여 센 강을 토르비아크교 상류 측에 침매 공법으로 건설된 터널로 통과한 뒤, 토르비아크 거리 지하를 따라 올랭피아드역까지 이어진다.

베르시역 근처에는 6호선과의 연결선이 있으며, 이것이 14호선과 다른 메트로 노선을 잇는 유일한 연결선이다.

모든 열차는 각 역에 정차하며, 중간역에서 회차하는 경우는 없다(단, 중간역에서 시발하는 열차는 있음). 운행 간격은 최단 90초까지 가능하다. 첫차는 5시 30분에 출발하며, 막차는 1시 15분에 종착역에 도착한다(단, 토요일과 공휴일 전날 밤에는 막차 운행이 1시간 연장된다).

2012년 2월, STIF(현 일드프랑스 모빌리테)는 노선 연장에 대비하여 새로운 차량인 MP 14를 도입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차량은 기존 메트로 차량보다 긴 8량 편성으로 운행되며,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기존의 MP 89CA 및 MP 05 차량을 대체할 예정이다. 대체된 기존 차량들은 다른 노선(향후 자동화될 4호선, 6호선, 11호선 등)으로 재배치될 계획이다.[26]

4. 차량

14호선은 고무차륜 방식의 열차를 사용하며, 개통 이후 세 종류의 차량이 운행되었다. 초기에는 MP 89 CA(Conduite Automatique|자동 운전fra) 형식이 주력으로 사용되었다. 이 차량은 Tc-M-M-M-M-Tc의 6량 편성으로 구성되었으며, 1호선, 4호선, 6호선 등에서 운행되는 수동 운전 버전(MP 89 CC)과는 다른 자동 운전 전용 모델이었다.[37] 이후 수송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MP 05 형식이 추가로 투입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노선 연장과 승객 증가에 따라 더 많은 수송 능력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신형 차량인 MP 14가 도입되었다. 알스톰이 제작한 MP 14는 2016년5월 30일 디자인이 공개되었으며, 기존 MP 89 및 MP 05의 6량 편성과 달리 8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수송 능력을 크게 향상시켰다. 14호선의 모든 역은 건설 당시부터 8량 편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기에 별도의 승강장 확장 공사 없이 MP 14를 투입할 수 있었다. MP 14는 기존 차량보다 좌석 수가 많고, 이동 약자를 위한 좌석 48석과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공간 8석이 마련되어 편의성을 높였다.[38]

2023년3월 24일을 마지막으로 MP 89 CA 차량은 14호선 운행을 종료했으며, 2023년4월 13일부터는 공식적으로 MP 14 차량만이 운행되고 있다. 기존에 운행되던 MP 89 CA와 MP 05 차량들은 자동 운전 시스템이 도입된 4호선으로 이관되었다. 다만, 일부 MP 05 차량은 2023년 10월까지 예비용으로 14호선에 남아있었다.[39]

차량 기지는 올랭피아드역 남서쪽 지하 터널에 위치한 톨비약-나시오날(Tolbiac-Nationalefra) 기지를 사용하며, 이곳에서 일상적인 검수가 이루어진다. 대규모 검사나 개조 작업은 1호선의 샤토 드 뱅센역 동쪽에 있는 퐁트네(Fontenay|퐁트네fra) 기지에서 진행된다. 올랭피아드역 개통 이전에는 현재의 올랭피아드역 부지가 임시 차량 기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참고로, 과거 주력 차종이었던 MP 89 CA 차량의 브레이크 소리는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제동 시 발생하는 소리가 단순한 소음이 아니라, 배음이 정돈되어 때때로 라장조 으뜸 화음(D, F#, A)처럼 들리도록 의도적으로 음악적으로 조율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브레이크 소음의 불쾌감을 줄이기 위한 설계였다.

4. 1. 자동 운전 시스템

14호선은 SAEL(Système automatique d'exploitation des trainsfra, 자동 열차 운전 시스템)이라는 시스템으로 제어된다. 이 시스템은 신교통 시스템인 VAL 방식과 달리, 자동 운전 열차와 수동 운전 열차가 혼재되어 운행될 수 있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다만, 혼재 시 운행 효율은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야간에는 열차를 종착역이나 기지까지 회송하지 않고 역 승강장에 그대로 유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중간역에서 첫차를 출발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14호선은 보유한 열차 편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유치선을 갖추고 있다.

SAEL의 열차 탑재 시스템은 DIGISAFE라고 불리며, 3개의 MC6802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MRTK(Matra Real Time Kernelfra)라는 전용 소프트웨어로 작동한다. 중앙 관제 시스템은 DEC 알파 프로세서 기반의 OpenVMS 운영체제에서 구동된다. 이 시스템 개발에는 형식 기법에 기초한 B-메소드가 사용되었다.

자동 운전 시스템 도입은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열차 운행 지연이나 승객 혼잡 발생 시 임시 열차를 탄력적으로 투입하기 쉬워졌다. 또한,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어 열차가 역에 더 빠른 속도로 진입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최단 운행 간격을 90초까지 단축하고 열차의 표정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더불어, 프랑스에서 자주 발생하는 파업 시에도 14호선은 운행 중단 없이 정상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2019년 12월 5일 프랑스 전역에서 대규모 총파업이 벌어졌을 때도, 14호선은 1호선과 함께 자동 운전의 이점을 살려 운행을 계속했다[36].

5. 역

RER D선 (스타드 드 프랑스-생드니에서)–0.0마리 드 생투앙
(일 드 프랑스 레지옹)

마리 드 생투앙역 승강장
생투앙쉬르센2020년 12월 14일13호선1.1km1.1km생투앙
생투앙역 승강장
생투앙쉬르센, 클리시2020년 12월 14일RER C선 (생투앙에서)1.2km2.3km포르트 드 클리시
(파리 법원)
포르트 드 클리시역 승강장
파리 (17구)2021년 1월 28일13호선
트램 3b호선
RER C선1.6km3.9km퐁 카르디네
퐁 카르디네역 승강장
파리 (17구)2020년 12월 14일트랑지리앵 L선 (퐁 카르디네에서)0.6km4.5km생라자르역
생라자르역 승강장
파리 (8구)2003년 12월 16일3호선, 12호선, 13호선
9호선 (생토귀스탱에서)
RER E선 (오스만-생라자르에서)
트랑지리앵 J선, L선 (생라자르에서)1.7km6.2km마들렌역
마들렌역 승강장
파리 (8구)1998년 10월 15일8호선, 12호선0.7km6.9km피라미드
피라미드역 승강장
파리 (1구)1998년 10월 15일7호선1km7.9km샤틀레역
샤틀레역 승강장
파리 (1구, 4구)1998년 10월 15일1호선, 4호선, 7호선, 11호선
RER A선, B선, D선 (샤틀레-레 알에서)1.2km9.1km리옹역
리옹역 승강장
파리 (12구)1998년 10월 15일1호선
RER A선, D선 (리옹역에서)
트랑지리앵 R선 (리옹역에서)2.4km11.5km베르시역
베르시역 승강장
파리 (12구)1998년 10월 15일6호선0.8km12.3km쿠르 생테밀리옹
쿠르 생테밀리옹역 승강장
파리 (12구)1998년 10월 15일1km13.3km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역 승강장
파리 (13구)1998년 10월 15일RER C선0.7km14km올랭피아드
올랭피아드역 승강장
파리 (13구)2007년 6월 26일0.9km14.9km메종 블랑슈
메종 블랑슈역 승강장
파리 (13구)2024년 6월 24일7호선1km15.9km비세트르 병원
(크레믈랭-비세트르 - 장티이)
비세트르 병원역 승강장
르 크레믈랭-비세트르, 장티이2024년 6월 24일1.6km17.5km빌쥐이프–구스타브 루시
빌쥐이프-구스타브 루시역 공사 현장
빌쥐이프2025년 1월 예정15호선 (예정)1.9km19.4km레자이-레-로즈--슈빌리라뤼, 라이레로즈2024년 6월 24일2.1km21.5km슈빌리-라뤼
(국제 시장)
슈빌리-라뤼역 승강장
슈빌리라뤼2024년 6월 24일트램 7호선2.2km23.7km티에-오를리
(퐁 드 렁지)
티에-오를리역 승강장
티에2024년 6월 24일RER C선 (퐁 드 렁지-오를리 공항에서)1.3km25km오를리 공항
(파레-비에유-포스테)
오를리 공항역 승강장
파레비에유포스트2024년 6월 24일트램 7호선
오를리발2.3km27.3km


5. 1. 역 상세 정보

파리 메트로 14호선 노선도


생라자르역에서 리옹역 직전의 생 마르탱 운하까지 구간은 주로 실드 공법을 사용하여 파리 중심부 지하 깊은 곳을 통과하도록 건설되었다. 노선은 생라자르역에서 남쪽으로 출발하여 마들렌역 직전에 이르러 동남쪽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이후 거의 직선으로 팔레 루아얄 바로 아래 등을 지나며 도심부를 관통한다. 샤틀레역과 리옹역 사이의 역간 거리는 2784m로, 이는 14호선뿐만 아니라 파리 메트로 전체에서도 가장 긴 구간이다.

생 마르탱 운하를 지나면 노선은 지표면 가까이 올라와 베르시 거리 지하에 위치한 리옹역에 도착한다. 베르시역과 쿠르 생테밀리옹역 사이에서는 국철 베르시역 지하를 지나며 약 90도로 방향을 틀어 센 강을 건넌다. 센 강 하저 터널은 토르비아크교 상류 쪽에 침매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강을 건넌 후에는 토르비아크 거리 지하를 따라 올랭피아드역까지 이어진다.

베르시역 근처에는 6호선과의 연결선이 있으며, 이는 14호선이 다른 메트로 노선과 연결되는 유일한 지점이다.

5. 1. 1. 주요 역



생라자르역 환승통로


샤틀레역 14호선 승강장.


파리 리옹역 구내의 정원.

5. 2. 건축

1989년 11월부터 1992년 말까지 탐사 갱도와 갤러리가 굴착되었고, 본격적인 터널 공사는 1993년 7월부터 1995년 초까지 진행되었다. 1993년 9월, 'Sandrine프랑스어'이라는 이름의 터널 보링 머신(TBM)이 바스티유 광장 근처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길이 80m, 폭 11m 크기의 이 TBM은 직경 8.6m의 터널을 굴착할 수 있었다. 하루 24시간, 주 5일 가동되며 지하수위 25m 아래 지층을 뚫었다. 주로 느슨하게 쌓인 석회암과 마르로 이루어진 지형은 굴착에 유리하여, 터널은 한 달에 350m 속도로 건설되었다. 이 터널은 기존 파리 메트로 7개 노선, 하수도, 클리시-카푸신(Clichy-Capucines) 시설, 지하 주차장 4곳 아래를 지나고, RER 2개 노선 위를 통과한다.

아르세날 부두에서 발생한 토사 굴착 및 현장 작업은 센 강 범람으로 2주간 지연되기도 했다. 토사 운반을 위해 센 강 수로를 이용한 것은 파리 시내의 교통 체증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택이었다. 터널은 1995년 1월 17일 미래의 피라미드 역 위치에 도달했고, 3월 15일에는 마들렌 역에 이르렀으며, 8월에는 오스만 대로 아래에서 굴착을 멈추고 지상으로 인양되었다.[8] 생 라자르역에서 리옹역 직전의 생 마르탱 운하까지 구간은 주로 실드 공법으로 굴착되었다.

노선의 다른 쪽 끝인 리옹역에서 톨비악(Tolbiac)까지의 터널은 개착 공법으로 건설되었다. 이 구간은 톨비악 다리 상류에서 센 강을 건너는데, 여기에는 침매 공법이 사용되어 수중에 미리 제작된 터널 구조물을 가라앉혀 연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구조물은 1994년 9월 28일에 설치되었다. 비용 절감을 위해 리옹역에서 아르세날 부두까지의 구간은 RER D선 터널과 동시에 굴착되었다. 공사 과정에서 굴착된 토사의 양은 816000m3에 달하며, 이는 파리에서 가장 큰 건물 중 하나인 몽파르나스 타워 부피의 약 두 배에 해당한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 및 구조 지지에 사용된 강철의 양은 19000ton으로, 에펠탑 무게의 두 배에 달한다.[9]

올림피아드 역 내부 전경.


14호선 역사의 설계는 공간감과 개방성을 강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역, 복도, 환승 통로의 규모는 기존 메트로 노선보다는 RER 노선과 건축적으로 더 가깝다. RATP는 새로운 노선에 특정 스타일을 적용했는데, 예를 들어 바닥 마감재로 아스팔트 대신 밝은 색상의 타일을 사용했다. 공간은 현대적으로 디자인되었으며, 넓은 공간에 풍부한 조명과 현대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승객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었다. 설계자들에 따르면, 역은 "고귀한 공공 공간으로서 정신적으로 기념비적이며, 형태와 재료 선택에서 도시적인 모습"을 반영해야 했다. 노선 초기 7개 역의 설계에는 4명의 건축가가 참여했다. 장-피에르 바이스(Jean-Pierre Vaysse)와 베르나르 콩(Bernard Kohn)이 6개 역을, 앙투안 그룸바흐(Antoine Grumbach)와 피에르 샬(Pierre Schall)이 프랑수아 미테랑 도서관 역을 설계했다.[34]

개별 역의 건축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한편, 노선의 일부 역에서는 때때로 환승 통로까지 습기가 차거나 유황 냄새가 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는 노선이 상대적으로 깊은 곳에 건설되어 대수층 아래를 지나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RER E선과 유사하게 지속적인 침수 및 누수 위험이 존재한다.[35]

6. 장래 계획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14호선은 북쪽과 남쪽으로 모두 확장되었다.

북쪽 연장은 생 라자르에서 시작하여 13호선의 혼잡을 줄이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19] 이 연장선은 13호선의 아니에르-제느빌리에 지선과 생-드니 지선을 각각 포르트 드 클리시역과 생투앙 시청역에서 교차한다. 다른 새로운 역들은 RER C의 생투앙역, 트랑실리앙 파리-생 라자르 노선의 퐁 카르디네역, 그리고 RER D의 생드니 플레옐역과 연결된다. 생 라자르에서 생투앙 시청까지의 1차 연장은 2014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0년 12월 14일에 개통되었으며, 이로 인해 노선 길이는 9km에서 14km로 늘어났다.[18] 생투앙 시청에서 생드니 플레옐까지의 최종 구간은 2024년 6월 24일에 개통되었다.[20][22][23][2]

남쪽으로는 올랭피아드에서 오를리 공항까지 연장되었으며, 6개의 중간역이 신설되었다. 남쪽 연장의 마지막 터널 굴착은 2021년 3월 3일에 완료되었고, 북쪽 연장의 마지막 터널 굴착은 2021년 4월 15일에 완료되어 노선의 양 끝 종점을 연결했다.[21] 오를리 공항까지의 남쪽 연장은 북쪽 연장의 마지막 구간과 함께 2024년 6월 24일에 개통되었다.[22][23][2] 오를리 공항을 오가는 여정에는 일반 메트로 요금의 거의 5배에 달하는 10.3유로의 특별 요금이 적용된다.[24] 중간역 중 하나인 빌쥐이프-구스타브 루시역은 2024년 6월 다른 남쪽 연장 구간과 동시에 개통되지 않았으며, 2025년 1월 18일에 개통될 예정이다. 이 역에서는 향후 15호선과 환승이 가능해질 것이다.[25]

이러한 연장 계획에 발맞춰, 2012년 2월 STIF는 새로운 등급의 차량인 MP 14를 도입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차량은 2020년경부터 14호선에 투입되어 기존의 MP 89CA 및 MP 05 차량을 대체하게 된다. MP 14는 메트로에서 사용된 적 없는 8량 편성으로 더 길며, 기존 MP 89CA와 MP 05 차량은 다른 노선(향후 자동화될 가능성이 있는 4호선, 6호선, 11호선 등)으로 재배치될 계획이다.[26]

7. 영향

자동 운전 시스템과 모든 역의 스크린도어 설치는 14호선의 운행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지연이나 혼잡 시 임시 열차 투입이 쉬워졌고, 역 진입 속도 향상으로 운행 간격을 90초까지 단축하며 표정 속도도 개선되었다.[36] 또한, 프랑스에서 빈번한 파업 시에도 자동 운전 덕분에 운행 중단이 비교적 적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2019년 12월 5일 프랑스 전역의 총파업 당시, 1호선과 함께 14호선은 운행을 계속했다.[36]

하지만 자동화 시스템에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스크린도어는 선로 접근을 막아 안전성을 높였지만, 정전 시 서비스가 완전히 중단될 수 있다. 2004년 9월 20일에는 신호 고장으로 열차 두 대가 터널 안에 멈췄고,[10] 2006년 12월 22일에는 기계적 문제로 인한 전기 고장으로 승객들이 한 시간 반 동안 갇히기도 했다.[11] 2007년에도 두 차례 기술적 문제로 운행이 중단된 사례가 있다.[12][13]

14호선의 자동 제어 및 스크린도어 도입 경험은 다른 여러 프로젝트에 영향을 미쳤다. RATP는 1998년부터 비용 문제에도 불구하고 기존 노선 자동화를 계획하기 시작했다.



승객 안전을 위한 스크린도어 설치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2004년 13호선 생 라자르역에서 지상 신호 테스트가 있었고, 2006년 여러 모델 테스트 후 Kaba사가 공급업체로 선정되었다. 이후 13호선 일부 역과 완전 자동화를 준비하는 1호선 전체에 설치될 계획이 세워졌다.[31]

또한, RATP는 2호선, 3호선, 5호선, 9호선, 12호선, 13호선에도 2020년까지 운전사가 탑승하되 거의 자동으로 운전하는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도입하여 열차 간격을 단축할 계획이었다.

8. 기타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기타'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8. 1. 기술

14호선은 새로운 노선 건설을 통해 1호선과 병행하며 다양한 기술 혁신을 도입하는 기회가 되었다. 역사는 더 넓고 길게 건설되었으며, 승강장 길이는 120m로 8량 편성 열차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역 간 거리가 길어져 표정 속도는 약 40km/h에 달하는데, 이는 다른 파리 메트로 노선의 거의 두 배에 가까운 속도이며 RER과 비슷한 수준이다.[32] 최고 속도는 80km/h이다. 또한, 이 노선은 완전 무인 운전 시스템을 채택하여 운전사 없이 운행되는 파리 최초의 대규모 지하철 노선이 되었다(단, 릴 메트로의 VAL 시스템이나 리옹 메트로 D호선의 MAGGALY 기술 등에서 무인 운전이 먼저 사용되었다).[32]

14호선은 Système automatique d'exploitation des trains프랑스어(SAEL, 자동 열차 운전 시스템)이라는 시스템으로 제어된다. 이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자동 운전 열차와 수동 운전 열차가 혼재되어 운행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야간에는 역 승강장에 열차를 간단히 유치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적은 유치선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차상 시스템은 DIGISAFE라고 불리며, 3개의 MC68020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MRTK(Matra Real Time Kernel영어)라는 전용 소프트웨어로 작동한다. 중앙 관제 시스템은 DEC 알파 기반의 OpenVMS 운영 체제에서 구동된다. 시스템 개발 과정에서는 안전 관련 부분의 속성을 증명하기 위해 B-Method라는 형식적 방법이 사용되어 소프트웨어 공학 분야에서 주목받기도 했다.

지멘스 교통 시스템즈는 14호선을 위해 Météor라는 CBTC 시스템을 공급했다. 이는 운영 통제 센터 모니터링, 7개 역 설비, 19개 6량 편성 열차 설비를 포함하며, 85초의 짧은 운행 간격을 가능하게 했다.[33] 이 시스템은 이후 전 세계 여러 도시철도 노선에 적용된 트레인 가드 MT CBTC 기술의 기반이 되었다.

자동 운전 시스템 도입과 모든 역에 설치된 스크린도어는 여러 이점을 가져왔다. 스크린도어는 승객이 선로로 추락하거나 자살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였고, 열차가 역에 더 빠른 속도로 진입할 수 있게 했다. 이로 인해 최단 운행 간격을 85~90초까지 줄일 수 있었으며, 표정 속도 향상에도 기여했다. 또한, 지연이나 혼잡 발생 시 임시 열차를 유연하게 투입하기 쉬워졌고, 프랑스에서 자주 발생하는 파업 시에도 14호선은 비교적 운행 중단 없이 정상 운행하는 경우가 많다. 2019년 12월 5일 프랑스 전역에서 총파업이 벌어졌을 때도 1호선과 함께 자동 운전의 이점을 살려 운행을 지속했다.[36]

궤도는 1호선 등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고무 타이어를 이용한 측면 안내 궤도식이지만, 회송이나 분기기 구간에서의 안내를 위해 철제 레일도 함께 설치되어 있다. 지하 구조물을 피하기 위해 노선에는 경사가 많으며, 최대 50퍼밀에 달하는 구간도 있다. 역 디자인은 기존 메트로와 차별화되어, 생라자르역의 거대한 개방 공간이나 리옹역의 지하 정원 등 현대적이고 대담한 설계가 적용되었다. 파리의 다른 역들과 달리 바닥 타일은 아스팔트 처리가 되어 있지 않다.

승객들은 대체로 14호선의 속도와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지만, 자동화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몇 차례 기술적 문제로 인한 운행 중단 사례가 있었다. 스크린도어가 선로 접근을 막아주지만, 시스템 자체의 문제나 외부 요인으로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다. 2004년 9월 20일에는 신호 시스템 고장으로 두 대의 열차가 터널 안에 멈춰 섰고,[10] 2006년 12월 22일에는 기계적 문제로 인한 전기 고장으로 승객들이 한 시간 반 동안 열차에 갇히는 사고가 발생했다.[11] 2007년 3월 21일8월 21일에도 기술적 문제로 인해 일부 구간의 운행이 중단되었다.[12][13]

개통 초기부터 14호선에는 MP 89 CA (Conduite Automatique, 자동 운전)형 차량이 사용되었다. 이 차량의 수동 운전 버전(MP 89 CC)은 1호선, 4호선, 6호선 등에서도 운행되었다.[37] MP 89 CA 차량의 브레이크 소리는 독특한 배음을 가지며, 때때로 라장조 으뜸 화음(D, F#, A)처럼 들리는데, 이는 의도적으로 설계된 것으로 일반적인 브레이크 소음의 불쾌감을 줄이기 위해 음악적으로 처리한 결과이다. 2023년 3월 24일부로 MP 89 CA 차량은 14호선 운행을 중단했으며, 4월 13일부터는 공식적으로 MP 14 차량만 운행되고 있다.[39] 알스톰이 제작한 MP 14 차량은 기존 차량보다 좌석 수가 많고, 교통약자를 위한 좌석(48석)과 휠체어 공간(8석)을 확보하는 등 편의성을 높였다.[38] 차량 기지는 올랭피아드역 남서쪽 터널 내에 위치하며 일상 점검을 수행하고, 대규모 검사 및 개조 작업은 1호선 샤토 드 뱅센역 동쪽에 있는 퐁트네(Fontenay|퐁트네프랑스어) 차량 기지에서 이루어진다.

8. 2. 통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통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승객 만족도와 사고/고장 사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통계' 섹션에 부합하는 승객 수, 운행 빈도 등의 수치 데이터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Paris inaugurates Line 14 extension https://www.railjour[...] 2022-03-29
[2] 웹사이트 Ligne 14 de Saint-Denis - Pleyel à l’aéroport d’Orly : « Ces nouvelles stations, c’est vraiment waouh ! » https://www.leparisi[...] 2024-06-24
[3] 뉴스 New section of Metro Line 14 opened https://web.archive.[...] InfraSite.net 2007-07-02
[4] 웹사이트 Ile-de-France : 14 rames MP05 de plus pour la ligne 14 http://www.ville-rai[...] 2012-11-14
[5] 웹사이트 Alstom's first MP14 metro train has started carrying passengers on Line 14 in Paris, which currently connects Olympiades and Saint-Lazare. https://railway-news[...] 2020-10-13
[6] 웹사이트 La 14 passe à 8 voitures sur toute la ligne ! https://prolongement[...] 2024-06-24
[7] 문서 p. 10
[8] 문서 pp. 69–73
[9] 간행물 Météor: Les premiers pas du métro de l'an 2000 La Vie du Rail 1995-08-09
[10] 웹사이트 La couleur pourpre http://www.metro-pol[...]
[11] 웹사이트 Les pieds dans la prise... http://www.metro-pol[...]
[12] 웹사이트 MétroPole – Coincé à faire un demi-tour http://www.metro-pol[...]
[13] 웹사이트 La ligne 14 du métro victime d'une panne informatique http://www.cio-onlin[...]
[14] 웹사이트 Communiqué de presse RATP – La ligne 14 fête ses 5 ans ! https://web.archive.[...]
[15] 뉴스 Le métro compte une nouvelle station Le Parisien 2007-06-26
[16] 웹사이트 Conseil général des Ponts et Chaussées – Effondrement sur le chantier METEOR https://web.archive.[...] 2003-04-01
[17] 뉴스 Une cour d'école s'effondre à Paris https://www.humanite[...] l'Humanité
[18] 보도자료 Alstom's new automatic MP14 metro enters commercial service on the Line 14 extension in Paris and its region https://www.alstom.c[...] Alstom SA 2020-12-15
[19] 웹사이트 Prolongement de la ligne 14 de Saint-Lazare à Mairie de Saint-Ouen https://web.archive.[...] RATP
[20] 뉴스 Paris : la ligne 14 prolongée va ouvrir le 17 décembre, annonce Valérie Pécresse https://www.lefigaro[...] Le Figaro 2020-10-11
[21] 보도자료 La course d'obstacles du tunnelier Valérie s'achève avec succès https://www.societed[...] societedugrandparis.fr 2021-04-23
[22] 웹사이트 Calendrier, Prolongement d'Olympiades à Aéroport d'Orly de la ligne 14 du métro https://prolongement[...] RATP
[23] 뉴스 Prolongement des lignes 11, 14 et du RER E: les dates d'inauguration se précisent https://www.msn.com/[...] 2024-04-11
[24] 웹사이트 Paris Orly - Metro Line 14 https://www.parisaer[...]
[25] 웹사이트 Les métros de la ligne 14 s’arrêteront enfin à la gare Villejuif-Gustave-Roussy... dans un mois https://www.leparisi[...] 2024-12-20
[2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7] 웹사이트 Statistiques 2005 du STIF, les transports en commun en chiffres, page 16 http://www.stif.org/[...]
[28] 웹사이트 Trafic annuel et journalier http://www.omnil.fr/[...]
[29] 웹사이트 MétroPole – Kaba prend les portes http://www.metro-pol[...]
[30] 웹사이트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 Nos réalisations, Paris – ligne 1 http://www.siemens.c[...]
[31] 문서 (éd. 2004:135–136)
[32] 문서 pp. 7–9
[33] 웹사이트 Driverless CBTC System for Line 14, Paris, France https://web.archive.[...]
[34] 문서 p. 47
[35] 웹사이트 MétroPole – Ce métro à l'odeur morose http://www.metro-pol[...]
[36] 웹사이트 年金改革の反対スト始まる、公共交通網が混乱 https://www.jetro.go[...] JETRO 2019-12-11
[37] 웹사이트 Métro : la ligne 4 est 100 % automatisée https://www.iledefra[...] 2024-09-01
[38] 웹사이트 Des nouveaux trains plus capacitaires pour la ligne 14 du métro https://www.ratp.fr/[...] RATP 2024-09-01
[39] 웹사이트 La 14 passe à 8 voitures sur toute la ligne ! https://prolongement[...] 2024-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